2022년 11월 넷플릭스 방송 3회만에 전국시청률 10.8%를 기록하고 케이블 방송에서는 VOD 1위를 기록한 <재벌가집 막내아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오너리스크를 관리하는 비서가 재벌가의 막내아들로 회귀하여 인생 2회차를 사는 판타지 드라마인데요. 재미있는 사실은 산경 작가의 웹툰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는 것 입니다.
is gaining sensational popularity in November 2022, with a national viewership rating of 10.8% after three episodes on Netflix and ranking first on VOD in cable broadcasting.
It is a fantasy drama in which a secretary who manages the conglomerate head family's owner risk returns as the conglomerate family's youngest son and lives for the second time in his life. An interesting fact is that it was created based on San-Kyung cartoonist's webtoon.
그는 주로 현대판타지를 배경으로 스토리를 제작했는데 당시 그가 웹툰을 연재하던 사이트를 보니 회사 생활을 안 해 본 사람이 쓴 티가 너무 났고, 내가 써도 더 잘 쓰겠다 싶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탄생한 2017년 작품인 재벌집 막내아들은 웹툰연재 사이트 유료 베스트 1위를 놓친 적이 없으며, 평균 회당 조회수 3만 5천 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초대박을 터뜨렸습니다. 그리고 4년 후 지금 드라마로 제작 된 것입니다.
He mainly created stories based on modern fantasy, but when he looked at the site where he was serializing webtoons at the time, he could tell that they were written by someone who had never worked in a company, and he thought he would write better. That’s how series created. He literally hit the Jackpot with an average of 35,000 views per episode. And now, 4 years later, it has been made into a drama.
이렇게 웹툰을 배경으로 제작된 드라마는 이것이 처음이 아닙니다.
This is not the first drama based on a webtoon like this.
2020년, 넷플릭스에서 본격적인 한국 드라마가 흥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개봉 이후 첫 4주 동안 전 세계 2200만 가구가 시청한 웹 드라마 있는데요. 은둔형 외톨이 고등학생이 가족을 잃고 이사 간 아파트에서 겪는 기괴하고도 충격적인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 스위트홈 입니다. 이 또한 웹툰작가 김칸비가 연재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In 2020, Korean dramas started to become popular on Netflix. There is a web drama that was watched by 22 million households around the world in the first 4 weeks after its release. The Netflix series tells the bizarre and shocking story of a reclusive high school student who loses her family and moves into an apartment.
This was also produced based on a story serialized by webtoon cartoonist Kim Kanbi
2021년 넷플릭스 지옥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느 날 인간들이 직면한 기적인지 저주인지 알 수 없는 초자연적 현상을 그려낸 드라마로 공개 하루만에 전세계 1위를 차지 할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는 연상호 작가가 네이버 웹툰에 연재한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Same goes for Hell Bound 2021 Neflix Series. It is a Drama that portrayed a paranormal occurrence that left viewers unsure of whether it was a miracle or a curse that people must endure. This was created based on the works created by Yeon Sang-Ho on Naver Webtoon.
그 다음 해 인 2022년, 좀비 바이러스가 시작된 학교에 고립되어 구조를 기다리던 학생들이 살아남기 위해 함께 손잡고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학교는> 91개국 국가에서 시청률 Top 10을 기록했으며 많은 아시아권에서는 독보적인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또한 네이버 웹툰작가의 주동근 작가의 작품을 모티브로 제작된 드라마입니다.
The following year, in 2022, the Netflix series >, which tells the story of students waiting for rescue after being isolated at the school where the zombie virus started, It recorded Top 10 ratings in 91 countries. and ranked first in many Asian countries. This is also a drama created with the motif of the work of Naver webtoon writer Joo Dong-Geun.
웹툰이 드라마가 되며 넷플릭스 안에서 콘텐츠 강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작가를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여년 전 까지만 해도 한국 만화시장은 한국에서도 세계에서도 주목받지 못했었습니다.
The reason how webtoons became dramas and grew into a content powerhouse on Netflix is because producers could find writers with innovative and creative ideas. However, until about 20 years ago, the Korean comic market did not receive attention either in Korea or in the world.
2000년도 까지 만해도 일본만화가 흥행하며 드래곤볼, 슬램덩크가 알려지며 전세계 만화 강대국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1년에 한국에 인터넷과 SNS가 보편화 되면서 새로움에 도전하는 만화 작가들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여러가지 유머사이트에 아마추어만화가들이 만화를 그리고 스캔해서 올리고 댓글기능을 통해서 생각이나 느낌을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열리게 된 것이죠. 그리고 이때 인터넷의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인 웹툰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됩니다.
Until the year of 2000, Japanese comics were popular, such as Dragon Ball and Slam Dunk they were known as a global comic powerhouse. However, in 2001, as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became common in Korea, comic book writers began to take on new challenges. A window has been opened for amateur cartoonists to draw, scan, and post cartoons on various humor sites. So they could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comment function. And at this time, the word webtoon, which is a compound word of the Internet web and cartoon, was born.
오프라인 시장일 때 보다 쉽게 많은 사람들이 만화를 접하게 되면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스토리를 그려내는 웹툰작가들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영화, 드라마 제작사들은 작가들에게 직접 컨텍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한국 만화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2019년 글로벌팬데믹이 시작되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OTT 서비스 넷플릭스의 성장과 함께 한국의 웹툰이 드라마와 영화로 제작되며 넷플릭스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한국이 콘텐츠 강대국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웹툰작가의 작품성이 정말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As more people found it easier to read comics online than in print, Webtoon cartoonists who draw innovative and creative stories are starting to get attention. Film and drama production companies could directly contact to webtoon cartoonists, and the Korean comics market begins to grow rapidly. And with the growth of OTT service Netflix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pandemic in 2019 and social distancing, Korean webtoons were made into dramas and movies that were the most popular ones on Netflix. The quality of work done by webtoon cartoonists played a big role of how Korea can be called a content powerhouse.
SayArt.net
LUHA LEE luhachloe@gmail.com
2022년 11월 넷플릭스 방송 3회만에 전국시청률 10.8%를 기록하고 케이블 방송에서는 VOD 1위를 기록한 <재벌가집 막내아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오너리스크를 관리하는 비서가 재벌가의 막내아들로 회귀하여 인생 2회차를 사는 판타지 드라마인데요. 재미있는 사실은 산경 작가의 웹툰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는 것 입니다.
is gaining sensational popularity in November 2022, with a national viewership rating of 10.8% after three episodes on Netflix and ranking first on VOD in cable broadcasting.
It is a fantasy drama in which a secretary who manages the conglomerate head family's owner risk returns as the conglomerate family's youngest son and lives for the second time in his life. An interesting fact is that it was created based on San-Kyung cartoonist's webtoon.
그는 주로 현대판타지를 배경으로 스토리를 제작했는데 당시 그가 웹툰을 연재하던 사이트를 보니 회사 생활을 안 해 본 사람이 쓴 티가 너무 났고, 내가 써도 더 잘 쓰겠다 싶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탄생한 2017년 작품인 재벌집 막내아들은 웹툰연재 사이트 유료 베스트 1위를 놓친 적이 없으며, 평균 회당 조회수 3만 5천 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초대박을 터뜨렸습니다. 그리고 4년 후 지금 드라마로 제작 된 것입니다.
He mainly created stories based on modern fantasy, but when he looked at the site where he was serializing webtoons at the time, he could tell that they were written by someone who had never worked in a company, and he thought he would write better. That’s how series created. He literally hit the Jackpot with an average of 35,000 views per episode. And now, 4 years later, it has been made into a drama.
이렇게 웹툰을 배경으로 제작된 드라마는 이것이 처음이 아닙니다.
This is not the first drama based on a webtoon like this.
2020년, 넷플릭스에서 본격적인 한국 드라마가 흥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개봉 이후 첫 4주 동안 전 세계 2200만 가구가 시청한 웹 드라마 있는데요. 은둔형 외톨이 고등학생이 가족을 잃고 이사 간 아파트에서 겪는 기괴하고도 충격적인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 스위트홈 입니다. 이 또한 웹툰작가 김칸비가 연재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In 2020, Korean dramas started to become popular on Netflix. There is a web drama that was watched by 22 million households around the world in the first 4 weeks after its release. The Netflix series tells the bizarre and shocking story of a reclusive high school student who loses her family and moves into an apartment.
This was also produced based on a story serialized by webtoon cartoonist Kim Kanbi
2021년 넷플릭스 지옥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느 날 인간들이 직면한 기적인지 저주인지 알 수 없는 초자연적 현상을 그려낸 드라마로 공개 하루만에 전세계 1위를 차지 할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는 연상호 작가가 네이버 웹툰에 연재한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Same goes for Hell Bound 2021 Neflix Series. It is a Drama that portrayed a paranormal occurrence that left viewers unsure of whether it was a miracle or a curse that people must endure. This was created based on the works created by Yeon Sang-Ho on Naver Webtoon.
그 다음 해 인 2022년, 좀비 바이러스가 시작된 학교에 고립되어 구조를 기다리던 학생들이 살아남기 위해 함께 손잡고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학교는> 91개국 국가에서 시청률 Top 10을 기록했으며 많은 아시아권에서는 독보적인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또한 네이버 웹툰작가의 주동근 작가의 작품을 모티브로 제작된 드라마입니다.
The following year, in 2022, the Netflix series >, which tells the story of students waiting for rescue after being isolated at the school where the zombie virus started, It recorded Top 10 ratings in 91 countries. and ranked first in many Asian countries. This is also a drama created with the motif of the work of Naver webtoon writer Joo Dong-Geun.
웹툰이 드라마가 되며 넷플릭스 안에서 콘텐츠 강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작가를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여년 전 까지만 해도 한국 만화시장은 한국에서도 세계에서도 주목받지 못했었습니다.
The reason how webtoons became dramas and grew into a content powerhouse on Netflix is because producers could find writers with innovative and creative ideas. However, until about 20 years ago, the Korean comic market did not receive attention either in Korea or in the world.
2000년도 까지 만해도 일본만화가 흥행하며 드래곤볼, 슬램덩크가 알려지며 전세계 만화 강대국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1년에 한국에 인터넷과 SNS가 보편화 되면서 새로움에 도전하는 만화 작가들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여러가지 유머사이트에 아마추어만화가들이 만화를 그리고 스캔해서 올리고 댓글기능을 통해서 생각이나 느낌을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열리게 된 것이죠. 그리고 이때 인터넷의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인 웹툰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됩니다.
Until the year of 2000, Japanese comics were popular, such as Dragon Ball and Slam Dunk they were known as a global comic powerhouse. However, in 2001, as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became common in Korea, comic book writers began to take on new challenges. A window has been opened for amateur cartoonists to draw, scan, and post cartoons on various humor sites. So they could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comment function. And at this time, the word webtoon, which is a compound word of the Internet web and cartoon, was born.
오프라인 시장일 때 보다 쉽게 많은 사람들이 만화를 접하게 되면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스토리를 그려내는 웹툰작가들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영화, 드라마 제작사들은 작가들에게 직접 컨텍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한국 만화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2019년 글로벌팬데믹이 시작되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OTT 서비스 넷플릭스의 성장과 함께 한국의 웹툰이 드라마와 영화로 제작되며 넷플릭스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한국이 콘텐츠 강대국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웹툰작가의 작품성이 정말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As more people found it easier to read comics online than in print, Webtoon cartoonists who draw innovative and creative stories are starting to get attention. Film and drama production companies could directly contact to webtoon cartoonists, and the Korean comics market begins to grow rapidly. And with the growth of OTT service Netflix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pandemic in 2019 and social distancing, Korean webtoons were made into dramas and movies that were the most popular ones on Netflix. The quality of work done by webtoon cartoonists played a big role of how Korea can be called a content powerhouse.